react usetransition

    useDeferredValue 와 useTransition 차이

    useDeferredValue는 상태 값의 지연 렌더링을 처리하고 useTransition은 함수 실행과 연관된 작업들을 비동기적으로 처리합니다. React의 비동기 렌더링 기능 을 활용하여 성능 최적화와 사용자 경험 개선에 기여합니다.1. useDeferredValue상태 값(state)의 업데이트를 지연시킵니다.사용 사례: 상태 값이 즉시 변경되더라도, 비동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렌더링을 지연 처리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.작동 방식:특정 상태 값이 실제 값보다 늦게 업데이트되도록 만들어 렌더링을 지연시킵니다.React의 비동기 렌더링을 활용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.컴포넌트 로딩 구현import { Suspense, useState, useDeferredValue } from 'react';expor..

    React 19 useTransition을 활용한 Axios 데이터 로딩과 상태 업데이트

    useTransition 은 시간이 걸리는 비동기 작업(예: 데이터 요청, 상태 업데이트)을 낮은 우선순위로 처리하여 UI가 멈추지 않고 계속 반응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예제 코드: useTransition을 사용한 비동기 상태 업데이트1. App.jsx//App.jsximport { useState, useTransition } from "react";import Employees from "./Employees.jsx";function App() { const [id, setId] = useState(0); return ( 부서 검색 setId(Number(e.target.value))} /> ..

    React 19의 useTransition을 활용한 비동기 상태 업데이트와 UI 반응성 향상

    useTransition 은 시간이 걸리는 비동기 작업(예: 데이터 요청, 상태 업데이트)을 낮은 우선순위로 처리하여 UI가 멈추지 않고 계속 반응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예제 코드: useTransition을 사용한 비동기 상태 업데이트1. App.jsximport { useState, useTransition } from "react";import Item from "./Item.jsx";import Total from "./Total.jsx";import { updateQuantity } from "./data.js";function App() { const [quantity, setQuantity] = useState(1); const [isPending, startTransi..

    React 19 useTransition vs React 18 pending 처리 : 로딩 상태 관리의 차이점

    💡React 19의 useTransition은 비동기 업데이트를 우선순위가 낮은 작업으로 처리하여 UI 반응성을 유지하면서도 로딩 작업을 백그라운드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 사용자 경험이 개선되고, 더 부드러운 로딩 처리와 상호작용을 제공합니다.React 18에서의 pending 처리React 18에서 pending 상태를 처리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Suspens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. Suspense는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로드할 때 로딩 중임을 나타내기 위해 컴포넌트 트리에서 로딩 상태를 감싸는 데 사용됩니다. 그러나, 로딩 상태가 길어지면 사용자 경험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Suspense 내부에서 로딩 중임을 나타내는 UI를 만들 때, 로딩 시간을 관리하는 것은 여전..